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hyperliquid2

"매수 버튼이 사라졌다"…하이퍼리퀴드 '무단 상폐'에 투자자 신뢰도 붕괴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는 시스템 악용 공격으로 인해 '젤리마이젤리(JELLYJELLY)' 선물 거래 페어를 무단 상장 폐지하며 논란을 일으켰습니다.주요 내용사건 개요:익명 고래가 HLP 볼트의 취약점을 이용해 가격 조작 및 대규모 손실을 유발했습니다.젤리 코인의 가격이 급등하며 HLP 볼트는 약 1200만 달러의 미실현 손실을 기록했습니다.하이퍼리퀴드의 대응:바이낸스와 OKX가 젤리 선물 페어를 상장한 후, 하이퍼리퀴드는 사전 공지 없이 해당 페어를 상장 폐지했습니다.피해를 입은 사용자들에게 환불을 약속했지만, 중앙화된 의사결정 방식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습니다.시장 반응:사건 이후 하이퍼리퀴드의 TVL은 약 34% 감소했으며, 거버넌스 토큰 HYPE는 약 22% 하락했습니다.투자자들.. 2025. 3. 28.
하이퍼리퀴드 청산 맵 공개… 분석해보니 ‘숏 포지션’ 지배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 포지션 데이터 분석 결과, 시장 참여자들은 숏(Short) 포지션을 더 크게 설정하며 하락에 베팅하고 있습니다. 1. **포지션 구성**:    - 총 포지션 규모: 2억200만 달러    - 숏 포지션: 1억1300만 달러(55.78%)    - 롱 포지션: 8900만 달러(44.22%) 2. **마진(Margin)**:    - 숏 마진: 7004만 달러(54.9%)    - 롱 마진: 5755만 달러(45.1%) 3. **손익(PnL)**:    - 롱 포지션: 4857만 달러 손실    - 숏 포지션: 1억6200만 달러 수익 4. **펀딩비(Funding Fee)**:    - 일반적인 흐름과 달리 숏 포지션이 1947만 달러 펀딩비를 받고, 롱 포지션이 17.. 2025. 3.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