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발행 네트워크로 이더리움을 우선 선택해야 한다는 주장을 중심으로 다양한 논거를 제시하고 있어요. 아래에 핵심 내용을 정리해드릴게요.
🧭 핵심 주장: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반드시 이더리움 기반으로 시작해야 한다”
- 이유 요약
- 이더리움은 압도적인 유동성, 검증된 보안성, 높은 탈중앙성을 갖춘 글로벌 표준 네트워크
- 주요 스테이블코인(USDT, USDC 등)도 대부분 이더리움 기반
- 유동성 파편화 방지 및 글로벌 시장 접근성 확보를 위해 이더리움이 최적
🔍 한국 시장의 특수성
- 국내 여론의 혼선
- 일부 커뮤니티·기관에서 카이아(Kaia), 아발란체(Avalanche) 등 특정 네트워크만을 고집하는 경향
- 이는 정책적 내러티브나 국산 체인 선호에 기반한 것으로, 글로벌 기준과는 괴리 있음
🧱 카이아(Kaia) 네트워크의 장점과 한계
- 장점으로 언급된 요소들
- 카카오·라인 기반의 기술 DNA
- 빠른 규제 대응 가능성
- 국산 체인 활용에 따른 정책적 우호성
- USDT 온보딩 경험 (2025년 5월, 1억 USDT 발행)
- 카카오톡·라인 기반의 메신저 연계 확장성
- 한계 지적
- 카이아 재단은 아부다비 설립, 싱가포르 운영
- 카카오·라인과의 직접적 연결성은 현재 불분명
🧩 결론
- 다양한 네트워크에 발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초기 발행은 반드시 이더리움을 중심으로 해야 한다는 것이 핵심 주장
→ 그래야 유동성 집중, 신뢰 확보, 글로벌 확장성을 동시에 달성 가능
https://bloomingbit.io/feed/news/91813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무조건 이더리움을 중심으로 발행해야한다 (ASA 오피니언 #2)
글로벌 독자의 경우 스테이블코인이 이더리움에 발행되는 것은 당연시 여길 것이다. 하지만 한국의 시장 상황은 사뭇 다르다. 한국에선 최근 스테이블코인과 관련된 논의가 빠르게 진행되며,
bloomingbit.io
반응형
'말말말 > 좋은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버리지 롱이 공짜 돈" 억만장자 차마스, 비트코인 초강세 선언 (1) | 2025.07.01 |
---|---|
기업들, XRP·솔라나 매집 러시...알트코인 트레저리 전략, 다음 상승장 이끈다 (0) | 2025.07.01 |
[분석] "비트코인, 장기 투자자 매도세 지속…손바뀜 현상 나오나" (1) | 2025.07.01 |
ETF 자금 줄줄이 들어오는데… 비트코인 왜 멈췄나 (0) | 2025.07.01 |
스테이블코인, ‘디지털 시뇨리지’ 전쟁 시작됐다 (0) | 2025.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