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국은행3

한은 총재, 시중은행장과 만난다…스테이블코인 논의할듯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이달 말 시중은행장들과 회동을 가질 예정입니다. 이번 만남에서는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과 통화정책, 금융시장 안정성이 주요 논의 대상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디지털화폐 논의가 빠르게 변화하면서 한은은 이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는 모습입니다. 특히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 논의가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다소 주춤한 반면, 원화 스테이블코인 관련 논의는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민병덕 의원이 대표 발의한 '디지털자산기본법'은 스테이블코인 발행 기업의 최소 자본금을 대폭 완화하고, 비은행권의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허용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한은의 기존 입장과 대비됩니다. 가계부채 문제도 주요 이슈로 다뤄질 전망입니다. 7월부터 시행될 DSR 3단계 규제가 대출 실수요 증.. 2025. 6. 11.
한은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 인가부터 우리가 개입" 첫 입장 한국은행이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 시 인가 단계부터 개입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한은의 주장: 스테이블코인은 통화정책, 금융안정, 지급결제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중앙은행이 발행자 진입 규제에 실질적인 법적 권한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배경: 원화와 1대1로 연동되는 스테이블코인이 활성화되면 법정 통화인 원화 수요를 대체할 가능성이 크며, 통화정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현재 상황: 미국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예: USDT)은 이미 해외 송금 및 결제에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은 국내에서 아직 발행이 허용되지 않은 상태입니다.규제 논의: 가상자산 2단계 입법 논의가 진행 중이며,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허용 여부가 주요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2025. 5. 12.
한은 "비트코인 외환보유액 편입, 신중히 접근해야" 한국은행이 비트코인을 외환보유액으로 편입하는 것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밝혔습니다.1. **가격 변동성 문제**: 비트코인의 가격이 급등락하며 안정성이 부족하다는 점이 지적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올해 초 1억 6천만 원대에서 최근 1억 1천만 원대로 하락했습니다.     2. **IMF 기준 미충족**: 외환보유액은 유동성, 시장성, 태환성, 그리고 신용등급 기준을 충족해야 하지만, 비트코인은 이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3. **현금화의 어려움**: 가상자산 시장이 불안정할 경우, 비트코인을 현금화하는 과정에서 거래비용이 급증할 가능성이 우려됩니다. 4. **국제적 의견 차이**: 체코와 브라질은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지만, 유럽중앙은행(ECB), 스위스 중앙은행, 일본 정부 등은 부정적인 견해.. 2025. 3.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