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말말말/좋은말

블랙록 CIO “비트코인은 있고, 이더리움은 아직 없다…결정적 차이는 이것”

by bitmaxi 2025. 5. 6.
반응형

 

 

블랙록,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 기관 수요 격차 확인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이 암호화폐 시장 확장을 본격화하는 가운데, 기관 투자자 사이에서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에 대한 수요 차이가 점점 더 뚜렷해지고 있다. 블랙록 ETF 및 인덱스 투자 부문 CIO 사마라 코헨은 비트코인은 기관 포트폴리오 내 확고한 자리를 차지했지만, 이더리움은 아직 투자 논리가 완성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비트코인(BTC)의 기관 투자 확산

  • 2022년 블랙록, 비트코인 신탁 출시 후 시장 실험 진행.
  • 2024년 말 iShares Bitcoin Trust(IBIT) 현물 ETF 출시, 투자자 수요 반영.
  • IBIT 보유자의 50%는 '셀프 디렉티드(Self-directed)' 투자자, 새로운 투자층 유입.
  • 포트폴리오 내 BTC 비중 1~2% 권장, 2% 초과 시 변동성 증가 경고.

이더리움(ETH), 기관 투자에서 여전히 2위

  • 기관 투자자들은 비트코인을 '가치 저장 수단'으로 인식.
  • 반면, 이더리움(ETH)의 유틸리티 기반 투자 논리는 아직 명확하지 않음.
  • “퍼블릭 블록체인의 유용성에는 낙관적이나, 토큰 가치로 어떻게 전이되는지는 불확실.”
  • 이더리움의 토크노믹스, 경쟁 구조, 장기 수익성 평가 복잡.

기관 투자 확대를 가로막는 암호화폐 시장의 구조적 문제

  • 데이터 표준화 부족으로 기관 진입 장벽 존재.
  • “암호화폐 시장에는 현금 흐름, 지배구조, 팀 투명성 등 전통 자산의 핵심 정보가 불완전하거나 일관되지 않음.”
  • 기관이 비트코인(BTC)에 투자하는 이유: 발행 일정, 공급량, 네트워크 보안 등 주요 메트릭이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기 때문.

기관 자금 유입, 결국 ‘명료성과 구조화’가 핵심

  • 이더리움(ETH)은 DeFi 및 온체인 생태계 발전 중이나, 기관 투자 기준 부재.
  • 블랙록 CIO: “이더리움을 비롯한 기타 토큰의 가치평가 프레임워크 구축이 매우 복잡하다.”
  • 기관 자본이 본격 유입되려면 투자 논리, 평가 기준, 표준화가 먼저 정립되어야 함.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900850

 

블랙록 CIO “비트코인은 있고, 이더리움은 아직 없다…결정적 차이는 이것” | 블록미디어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이 암호화폐 시장 확장을 본격화하는 가운데, 기관 투자자 사이에서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에 대한 수요 격차가 점점 더 뚜렷해지고 있다. 이에 대해 블랙록 E

www.blockmedia.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