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하이퍼리퀴드4 "매수 버튼이 사라졌다"…하이퍼리퀴드 '무단 상폐'에 투자자 신뢰도 붕괴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는 시스템 악용 공격으로 인해 '젤리마이젤리(JELLYJELLY)' 선물 거래 페어를 무단 상장 폐지하며 논란을 일으켰습니다.주요 내용사건 개요:익명 고래가 HLP 볼트의 취약점을 이용해 가격 조작 및 대규모 손실을 유발했습니다.젤리 코인의 가격이 급등하며 HLP 볼트는 약 1200만 달러의 미실현 손실을 기록했습니다.하이퍼리퀴드의 대응:바이낸스와 OKX가 젤리 선물 페어를 상장한 후, 하이퍼리퀴드는 사전 공지 없이 해당 페어를 상장 폐지했습니다.피해를 입은 사용자들에게 환불을 약속했지만, 중앙화된 의사결정 방식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습니다.시장 반응:사건 이후 하이퍼리퀴드의 TVL은 약 34% 감소했으며, 거버넌스 토큰 HYPE는 약 22% 하락했습니다.투자자들.. 2025. 3. 28. 잭XBT "하이퍼리퀴드 고래 정체는 금융 사기범" 블록체인 보안 전문가 잭XBT(ZachXBT)가 하이퍼리퀴드(HYPE)에서 활동하는 고래가 과거 금융 사기 범죄로 핀란드에서 체포된 윌리엄 파커로 추정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윌리엄 파커의 이력: 2010년대 초반 해킹 및 도박 관련 사기 범죄를 저질러 여러 차례 뉴스 헤드라인에 올랐으며, 2023년에는 카지노에서 약 100만 달러를 훔친 혐의로 핀란드에서 체포된 바 있습니다.현재 활동: 도박을 계속하고 있으며, 자금 대부분을 '0x51d'로 시작하는 암호화폐 주소에 보관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잭XBT의 주장: 파커가 훔친 자금을 암호화폐 트레이딩에 사용했다는 의혹을 제기했습니다.고래의 반박: 해당 고래는 잭XBT의 주장이 사실무근이라고 반박했습니다.이 사건은 암호화폐와 관련된 보안 및 투명성 문제를 다.. 2025. 3. 21. 하이퍼리퀴드 청산 맵 공개… 분석해보니 ‘숏 포지션’ 지배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 포지션 데이터 분석 결과, 시장 참여자들은 숏(Short) 포지션을 더 크게 설정하며 하락에 베팅하고 있습니다. 1. **포지션 구성**: - 총 포지션 규모: 2억200만 달러 - 숏 포지션: 1억1300만 달러(55.78%) - 롱 포지션: 8900만 달러(44.22%) 2. **마진(Margin)**: - 숏 마진: 7004만 달러(54.9%) - 롱 마진: 5755만 달러(45.1%) 3. **손익(PnL)**: - 롱 포지션: 4857만 달러 손실 - 숏 포지션: 1억6200만 달러 수익 4. **펀딩비(Funding Fee)**: - 일반적인 흐름과 달리 숏 포지션이 1947만 달러 펀딩비를 받고, 롱 포지션이 17.. 2025. 3. 18. [위클리디파이] 하이퍼리퀴드, 청산 사태로 TVL 32% 급감 **디파이(DeFi) 시장 유동성 감소와 하이퍼리퀴드 관련 주요 내용 정리:** 1. **시장 전반 유동성 감소:** - 주요 블록체인의 총 예치 자산(TVL)이 감소세. - 이더리움 TVL: 447억 5000만 달러(-21.17%/월). - 솔라나 TVL: 65억 9000만 달러(-26.33%/월). - 비트코인 디파이 TVL: 53억 2000만 달러(-9.87%/주). 2. **하이퍼리퀴드 TVL 급감:** - 하이퍼리퀴드 TVL이 7일간 32.11% 하락, 4억 2600만 달러로 감소. - 원인은 한 트레이더의 대규모 ETH 롱 포지션 강제 청산과 관련. - 청산 여파로 HYPER 토큰 12% 하락(이후 일부 회복). 3. **조치와 전.. 2025. 3. 1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