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싱가포르2

‘규제 강화’ 싱가포르, ‘유치 강화’ 홍콩⋯디지털자산 주도권 경쟁 본격화 싱가포르 vs 홍콩, 디지털자산 정책의 갈림길싱가포르와 홍콩이 최근 디지털자산(가상자산) 산업을 두고 상반된 정책 노선을 보이며 주목받고 있어요.🇸🇬 싱가포르: 규제 강화디지털자산 기업에 라이선스 의무화:자금세탁방지, 준법 담당자 지정, 사이버 보안 점검 포함위반 시 최대 18.5만 달러 벌금 또는 징역형해외 고객 대상 서비스도 라이선스 필수글로벌 거래소 Bitget·Bybit는 본사 이전 검토 중🇭🇰 홍콩: 디지털자산 허브로 도약새로운 전략 ‘LEAP’ 발표:스테이블코인 면허제 도입실물자산 토큰화 정책 포함중국 본토 증권사의 디지털자산 거래 승인홍콩 웹3 협회: “규제+유동성+글로벌 연결성 갖춘 기반 마련”🏦 공통점과 전망싱가포르는 규제를 강화하되, 일부 신규 플랫폼의 진출은 허용⏩ Robin.. 2025. 7. 5.
환전도 서명도 안했다 … 싱가포르선 가상화폐 QR로 '삑' 결제 끝 🪙 싱가포르의 '그랩' 앱, 스테이블코인 결제 본격화1. 결제 방식동남아 슈퍼앱 그랩에서 QR코드 스캔만으로 스테이블코인(테더, USDT) 결제 가능환전 없이 바로 결제되어 편리하고 빠름비트코인, 이더리움, USDC, XSGD 등 다양한 가상자산도 지원2. 결제 환경가상자산 지갑을 그랩 앱에 연동해 매장 내 QR코드로 간편 결제현지 유심이나 본인 인증 필요기자는 빗썸에서 테더 구매 → 바이낸스로 전송 → 그랩 지갑으로 충전이더리움 전송: 2.5USDT (비쌈)솔라나: 0.5USDT폴리곤: 0.02USDT (저렴)3. 사용 경험스타벅스 등 매장에서 1초 만에 결제 완료마스터카드 카드 결제보다 빠르고 번거로움 없음일반 포인트 차감 느낌으로 사용 가능4. 확산 사례소니 싱가포르: USDT/USDC 결제 도입.. 2025. 6.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