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말말말/좋은말

아서 헤이즈 "가장 증오받는 코인일수록 기회"...이더리움 1만 달러 예측

by bitmaxi 2025. 7. 4.
반응형

▲ 이더리움(ETH)

 

이더리움 현황 정리: "증오받는 레이어1 vs 반등 기회"


💡 반등 가능성의 주장 – 아서 헤이즈 시나리오

  • 발언자: 아서 헤이즈 (BitMEX 공동창립자)
  • 발언 요지:
    • “이더리움은 가장 증오받는 레이어1이다. 그래서 반등 가능성이 크다.”
    • 낮은 투자 심리가 오히려 **강한 반사적 급등(reflexive rip)**을 촉진할 수 있음
    • 유동성 환경이 뒷받침되면 ETH 가격이 $5,000~$10,000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
  • 반등을 이끄는 유동성 요소:
    • 미국 연준의 대차대조표 확대
    • 미 재무부의 국채 바이백
    • 중국의 경기부양책
    • 이더리움의 5월 업그레이드 ‘페트라(Petra)’ 효과 → 솔라나의 2024 여름 랠리와 유사한 트리거 가능

⚠️ 경쟁력 약화 우려 – RWA 기반 독립 체인의 부상

  • EVM 호환 독립형 체인 등장:
    • 예시: 컨버지(Converge)
      → 시큐리타이즈 & 아테나랩스 협력
      → 특징:
      • 100밀리초 블록 생성
      • KYC 기반 스마트계약
      • 자체 스테이블코인 수수료 결제
      • 폐쇄형 수익 구조로 기관 친화적
  • 대형 금융기관의 대체 플랫폼 채택:
    • HSBC, 뱅크오브아메리카, 유로클리어 → 솔라나 기반 RWA 프로젝트 참여
    • 로빈후드 → 자체 레이어2 체인 출시
  • 우려 요지:
    • 퍼블릭 체인으로서 이더리움의 신뢰 프리미엄 축소 가능성
    • RWA 기업들의 독립 플랫폼 채택은 ETH의 장기적 가치 저장 기능 약화로 이어질 수 있음

📊 요약 비교

항목 긍정적 전망 부정적 전망

주요 주장 증오받음 → 반등 기회 대체 플랫폼 부상 → 경쟁력 약화
유동성 변수 연준·재무부·중국 경기부양 불특정 RWA 기업의 독립성 강화
기술 요인 페트라 업그레이드 빠른 처리·KYC 통합 스마트계약 체인의 등장
기관 수요 방향 잠재적 회복 기대 컨버지·솔라나·로빈후드 등 대안 플랫폼으로 이동

🔍 의견

이더리움은 지금 양면적 시선을 받고 있습니다. 한쪽에서는 증오받을수록 저평가되어 강하게 반등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갖고 있고, 다른 한쪽에서는 기관 친화적이고 실용적인 대안 체인이 빠르게 부상 중이라는 경고를 내놓고 있어요.

현 시점에서는 유동성 환경과 기업 수요의 흐름이 이더리움의 운명을 좌우할 중요한 변수로 작동할 것입니다. ETH가 단순한 레이어1을 넘어 디지털 금융 인프라로 자리매김하려면, 기술 혁신과 생태계 유연성 모두 확보해야겠죠.

https://www.coinreaders.com/1704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