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인소식

전통적 통화 vs. 스테이블코인 공급량 비교…디지털화된 화폐 지형 변화 읽는다

by bitmaxi 2025. 4. 3.
반응형

 

스테이블코인이 기존 통화 체계에 도전하며 점점 더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를 비교하고 이해하기 위해 스테이블워치(Stablewatch)는 시각적 분석 도구를 공개했습니다.

주요 내용 요약

  • 통화 공급량 정의 및 지표:
    • 경제 내 거래 및 저축에 사용 가능한 자산 총합을 뜻하며, 기초통화(M0), M1, M2, M3, M4 등 다양한 유동성 범위에 따라 나뉩니다.
    • M1은 유동성이 높은 자산(지폐, 수표 계좌 등)을 포함하며, M2는 머니마켓 예금, 소액 정기예금 등이 추가된 지표로 많이 활용됨.
  • 스테이블코인의 특징 및 역할:
    • USDT, USDC와 같은 클래식 스테이블코인은 M1에 가까운 기능을 하며 디지털 형태의 달러로 작용.
    • 투자 자산적 성격이 강한 수익형 스테이블코인은 통화로 분류되기 어려움.
  • 스테이블코인과 전통 통화 비교:
    • CURRCIR(시중 통화)와 비교해 디지털 대체 가능성을 보여줌.
    • M1과 비교하면 거래 수단으로서의 기능 평가 가능.
    • M2와 비교하면 금융 기능의 대체 범위를 파악할 수 있음.
  • 정책적 변화 및 리스크:
    • 스테이블코인의 성장으로 중앙은행은 통화정책 수립 시 이를 고려해야 할 가능성이 있음.
    • 탈중앙화된 발행 구조와 중앙은행 통제 밖에서 움직이는 특성으로 새로운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
  • 디지털 자산의 금융시장 내 위상:
    • 스테이블코인의 성장 속도와 통화 공급량 간 괴리 추적을 통해 위상을 유추 가능.
    • 규제의 변화가 공급량 및 채택 확대 또는 축소에 영향을 미침.

스테이블코인은 기존 통화 체계의 구조적 변화를 이끌며, 디지털 시대의 화폐로서 투자자와 정책 입안자들에게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더 이상 미래의 이야기로 머물지 않고, 현재 진행 중인 변화를 보여줍니다.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883320

 

전통적 통화 vs. 스테이블코인 공급량 비교…디지털화된 화폐 지형 변화 읽는다 | 블록미디어

스테이블코인이 전통적 통화 체계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스테이블워치(Stablewatch)는 최근 스테이블코인의 공급량이 미국 달러 공급량과 어떻게 비교되는지를 시각적으로 분석하는 도구를 공

www.blockmedia.co.kr

 

반응형